처음이라 막막해도 괜찮습니다. 벽선반 설치부터 페인트, 코킹까지 이 8종이면 대부분의 셀프 시공이 해결됩니다. 초보·중급·프로 예산대별로 알짜 조합과 안전 체크포인트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Q. 8종만으로도 대부분의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할까요?A. 벽선반·액자·페인트·코킹·간단한 바닥/필름 작업까지는 충분합니다. 드릴·수평·컷팅·도장·실리콘·안전의 여섯 기능축이 모두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전기·배관·구조 변경 등 위험 작업은 전문가에게 맡기세요.
핵심은 배터리 플랫폼 통일과 정확한 수평·치수, 그리고 마감 품질입니다. 아래 8종 리스트와 체크리스트를 그대로 적용하면 비용·시간·완성도를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
① 필수 8종 전체 맵 (활용도·예산·브랜드 전략)
활용도 TOP8: 한 세트로 끝내는 기본 구색
① 충전드릴/드라이버 ② 임팩트 드라이버(선택) ③ 레이저 레벨+수평계 ④ 줄자/레이저 거리측정기 ⑤ 멀티툴·유틸리티나이프 ⑥ 샌더/사포 ⑦ 페인팅 키트(롤러·붓·트레이·마스킹) ⑧ 실리콘건·코킹툴 + 안전 필수: 비접촉 전압 테스터·보안경·장갑.
예산 구성: 초보·중급·프로 3가지 패키지
초보(저예산): 12V 드릴+수평계+나이프+롤러/마스킹+수동 코킹건. 중급: 18V 브러시리스 드릴/임팩트 듀오+레이저 레벨+샌더. 프로: 고정밀 레벨(그린빔)+HEPA 샌더+프리미엄 롤러+실리콘 스무더 세트.
패키지 | 핵심 구성 | 추천 용도 |
---|---|---|
초보 | 12V 드릴·수평계·나이프·롤러·코킹건 | 액자/선반·소규모 페인트 |
중급 | 18V 드릴+임팩트·레이저 레벨·샌더 | 붙박이·도어 하드웨어 교체 |
프로 | 그린빔 레벨·HEPA 샌더·프리미엄 롤러 | 대면적 도장·정밀 시공 |
② 타공·설치의 핵심 (충전드릴·임팩트·비트·앵커)
드릴 vs 임팩트: 어디에 어떻게 쓰나
충전드릴은 타공·스크류 모두 가능한 만능형, 임팩트는 긴 나사·하드우드·콘크리트 스크류에 강합니다. 초보는 드릴로 시작하고, 빈도 높으면 임팩트를 추가하세요.
비트·앵커·기본 세팅
목재·금속·석재 비트를 구분하고, 석고보드엔 토글/언더컷 앵커를 사용합니다. 회전·충전 모드, 토크 링 조절, 파일럿 홀 선가공이 실패를 줄입니다.
- 재질 확인(목/석고/콘크리트)
- 파일럿 홀·토크 조절
- 적합 앵커 선택·하중 표기 확인
③ 정밀 측정·수평 (레이저 레벨·수평계·줄자/거리측정기)
수평·수직·직각: 그린빔 레벨의 장점
그린빔 레벨은 가시성이 높아 실내 작업에 유리합니다. 삼각대+미세 조절 마운트를 함께 사용하면 몰딩·타일·선반 라인을 정밀하게 맞출 수 있습니다.
줄자·레이저 거리측정기: 현장 실수 줄이는 팁
줄자는 걸림탭 보정, 레이저 미터는 전·후기준 전환과 평균/최댓값 기능을 익혀 오차를 최소화하세요.
도구 | 강점 | 주의 |
---|---|---|
레이저 레벨 | 수평/수직 동시, 장거리 표시 | 진동·지지대 안정화 |
줄자/레이저 미터 | 빠른 실측·반복 측정 | 기준면·보정 확인 |
④ 컷팅·가공 (멀티툴·유틸리티나이프·샌더/사포)
멀티툴·나이프: 자재별 칼날 선택
멀티툴은 컷팅·절개·샌딩까지 가능한 万능툴입니다. 필름·몰딩·실리콘 제거엔 세그먼트 블레이드, 석고·목재엔 플런지 블레이드를 사용하세요. 나이프는 스냅오프 칼날로 항상 예리하게 유지합니다.
샌더·사포: 입도 선택과 분진 관리
퍼티 전 거친 샌딩은 #80~120, 도장 전 마감 샌딩은 #180~240를 권장합니다. 분진은 집진 연결 또는 습식 샌딩으로 관리하세요.
- 칼날은 자재별 전용 사용
- 샌딩 입도는 공정 단계에 맞춰 교체
- 분진 집진·보안경·마스크 필수
⑤ 도장·퍼티 (롤러·붓·마스킹·퍼티나이프)
페인팅 키트: 롤러·붓·트레이·마스킹 테이프
벽면은 9~10인치 롤러(미디엄 폼), 몰딩·코너는 2인치 앵글 붓이 편합니다. 마스킹 테이프는 표면에 맞는 접착력(저/중)을 선택하고, 젖을 때 제거하면 깔끔합니다.
퍼티·패치: 구멍·크랙 메우기
나사구멍은 스팟 퍼티, 큰 타공은 메쉬 테이프+퍼티 2~3회로 층을 쌓아 건조·샌딩합니다. 프라이머를 먼저 발라 흡수를 맞추면 색 차이가 줄어듭니다.
- 세척·탈지 → 퍼티·샌딩 → 프라이머
- 컷팅(붓) → 롤러 2회 → 테이프 제거
- 환기·건조·먼지 차단
⑥ 실리콘·방수 마감 (실리콘건·코킹툴·리무버)
코킹 라인 품질을 좌우하는 3요소
표면 탈지 후 마스킹→균일 압출→스무딩 순서가 핵심입니다. 젖은 손/비누수보다 전용 스무더가 라인 품질과 위생에 유리합니다.
실리콘 종류·제거 요령
욕실은 방균 실리콘, 주방은 내열·내오염 제품을 권합니다. 기존 실리콘은 리무버+스크래퍼로 충분히 제거 후 새로 시공하세요.
상황 | 권장 실리콘 | 주의 |
---|---|---|
욕실 곰팡이 | 방균 실리콘 | 완전 건조 전 물 접촉 금지 |
싱크대 | 내열·내오염 | 기름 성분 탈지 철저 |
⑦ 안전·전기 기본 (비접촉 전압 테스터·PPE·보관)
비접촉 전압 테스터·스터드 파인더
타공 전 전원 차단 후 테스터로 전선 유무를 확인하세요. 석고보드 벽은 스터드(목재골조)를 찾아 고정하면 하중 지지가 안정적입니다.
PPE·보관: 사고와 분실을 줄이는 루틴
보안경·장갑·마스크·귀마개는 기본입니다. 작업 후 칼날·비트는 마그네틱 트레이로 정리하고, 배터리는 40~60% 잔량 보관을 권장합니다.
- 분전함 차단·전압 테스터 확인
- 타공 전 스터드·배관 위치 탐색
- PPE 착용·날 관리·현장 정리
이 글을 마치며
셀프 인테리어의 완성도는 결국 정확한 측정, 적합한 공구, 깔끔한 마감에서 결정됩니다. 오늘 8종을 플랫폼·예산·공정에 맞게 구성하고, 체크리스트대로 움직이면 실패 확률이 크게 줄어듭니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즐거운 셀프 시공 되세요!
FAQ 묻고답하기
Q1. 12V와 18V 드릴, 어떤 걸 살까요?
Q2. 드릴 하나면 임팩트는 필요 없나요?
Q3. 레이저 레벨은 꼭 그린빔이어야 하나요?
Q4. 페인팅에서 가장 흔한 실패는?
Q5. 실리콘 라인이 울퉁불퉁해요. 어떻게 개선하죠?
Q6. 석고보드 벽에 무거운 선반을 달 수 있나요?
Q7. 저가 공구로 시작해도 괜찮나요?
Q8. 배터리는 브랜드를 섞어도 되나요?
Q9. 중고 공구 구매 팁은?
Q10. 전기 작업은 어디까지 직접 가능할까요?
⚠️ 전기·가스·구조 변경 작업은 법규와 안전 기준을 준수하고, 필요시 전문가에게 의뢰하세요.
💡 광고 및 제휴 링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일정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 작업 전 사용설명서·안전장비·보험(손해배상 등) 여부를 확인하세요.